평생교육원

미술의세계
접수중
인문예술로서 힐링수묵화
강사명 | 최현우 접수기간 | 2025-04-01 ~ 04-30 교육기간 | 2025-05-01 ~ 2025-10-31(각 6개월과정) 교육시간 | 택1 / 화요일 11시 - 13시 / 목요일 18시 - 20시 교육유형 | 실습교육과정 교육장소 | KTA평생교육원 교육대상 | 수묵화에 관심있는 분 교육인원 | 10
수강료
100,000원
신청하기
교육과정 및 과정 상세안내

인문예술로서 힐링수묵화

 

1. 과정소개

1) 수묵화 초급: 난초, 대나무, 매화, 국화  (각각 6개월 과정)

2) 수묵화 중급: 소나무, 연꽃, 산수 (각각 6개월 과정)

3) 수묵화 고급: 자유 창작 작품반, 인사동 작업실처럼 활용

     

과정개요

인문학(人文學, Humanities)이란 인간과 인간의 관계, 인간의 가치, 인간의 사상과 문화 등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인문학의 종류에는 문학, 철학, 역사학, 심리학, 법학, 언어학, 종교학, 미술사학, 음악사학, 공연예술학 등이 있다.


인문예술로서 힐링수묵화는 조선시대 옛 인문학자, 특히 유가철학자들이 자신의 마음을 다스리고 수양과 치유하기 위해, 

그림도구가 아닌 필기도구였던 지필묵(紙筆墨, 종이와 붓과 먹)을 활용하여 여가시간에 그렸던 수묵문인화(水墨文人畵)를 지칭한다. 

이러한 옛 철학자들이 삶의 여유를 찾기 위해 향유하였던 예술분야인 수묵문인화에 대한 역사를 배우고 이를 직접 그려봄으로써, 

예술적 교양을 쌓고 마음을 수양하며 힐링(healing, 치유)할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고자 한다. 


교육목표(강의 목표) 

1. 조선시대 옛 지식인(문인, 선비, 철학자)들이 난초를 치며 마음을 수양하고 힐링(healing, 치유)하였다. 

이에 대한 역사적 근거와 난초에 대한 의미를 파악한 후, 조선시대 선비들이 학습하였던 난초 그림 전통 기법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인문학자들이 개발하고 전개시켰던 인문예술로서 수묵문인화의 대표적인 소재로는 사군자(四君子, 매화·난초·국화·대나무), 소나무, 바위, 산수(山水) 등이 있다. 

2. 이 강의는 이론과 실기 두 가지 관점에서 진행된다. 

첫째, 조선시대 인문예술로서 힐링수묵화의 역사를 이론적으로 간략히 강의할 것이다. 

둘째, “일획은 만획의 근본, 만가지 형상의 뿌리”라는 수묵화 기법론에 근거하여, 

수묵화 일획의 첫 관문이라고 할 수 있는 난초와 대나무 그림의 전통 필묵법을 현대적 계승을 위해 쉽게 익히며, 

문인화의 소재인 난초·대나무·매화·국화·소나무·한옥·바위·산수 등 순차적으로 배워나갈 것이다. 


과정 소개 (강의 방법)

1. 이론 수업은 수묵화의 역사와 필묵법에 대해, 강사가 30년간 연구하여 발표한 9편의 논문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2. 실기 수업은 전통필묵의 철학정신과 비법이 담겨있는 조선시대 수묵화 명작을 표본으로 하여, 강사가 필묵법을 직접 시범을 보여주며 설명한다. 

3. 수강생의 실기 과정을 세밀히 관찰하여 수묵화의 전신자세(운필법, 집필법) 교정 및 전통 필묵 사용법을 현대적 설명을 활용하여 쉽게 알려줄 것이다.


2. 강사소개


솔뫼 최현우 주요경력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및 동대학원 졸업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 박사(동양화 전공)
개인전 3회 및 단체전 80여회
2019 제1회 대한민국전통예술 서화전승 청년작가(한국화 부문)
2023 인카네이션 문화예술재단 청년작가 창작지원금 선정
2024 쿠바. 한국 수교 미술상 수상
2025 올해의 평론가상(전통예술 부문 : 한국노벨재단)
동의대·안양대 강사 역임


【논문】

2021 「묵란화墨蘭畵에서 ‘난초 치다’의 역사적 근원 시탐試探」, 『동양예술』 제50호(KCI 등재학술지, '난초 치다'의 어원 최초 논증)

2020 「굴원屈原의 「이소離騷」가 묵란화 형성에 끼친 영향 고찰」, 『동양예술』 제46호(KCI)

2019 「유가적 관점에서 조선시대 문인사대부의 묵란화 연구」, 『미학예술학연구』 제56집(KCI)

2018 「묵죽화담론墨竹畵談論」, 『미학예술학연구』 제53집(KCI)

2017 「마음 비움의 구현을 위한 수묵水墨 표현 연구 -  은일隱逸·무화無化·무애無碍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추사 김정희의 난초그림 필법筆法 분석 - 서화용필동법에 의한 삼전법三轉法을 중심으로」, 『秋史硏究』 제8호, 추사연구회

2008 「서화용필시書畫用筆時 수완(手腕, 손과 팔)의 기하학적 구조 분석」, 『동방논집』 제2호, 동방대학원대학교

2007 「추사 김정희의 서화 작품에 나타난 바른 집필법執筆法 고찰」, 『秋史硏究』 제5호, 추사연구회

2003 「수묵화의 용필법用筆法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석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