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생교육원
미술의세계
접수마감
[4월 특강] 수양예술로서 마음도장 새기기
100,000원
|
[인문예술2회 특강] 수양예술로서 마음도장 새기기 |
1. 과정소개
과정개요
수양예술로서 마음도장 새기기 수업은 가훈, 좌우명, 아호, 이름 낙관 등을 새기는 활동은 개인의 정체성과 가치를 표현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수양예술은 개인의 내면을 탐구하고 감정을 표현하며, 정신적, 정서적 성장을 도모하는 예술적 활동을 의미합니다.
가훈, 좌우명, 아호, 이름 낙관을 포함한 마음도장을 디자인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나타냅니다.
2. 강사소개
솔뫼 최현우 주요경력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동양화과 및 동대학원 졸업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 박사(동양화 전공)
개인전 3회 및 단체전 80여회
2019 제1회 대한민국전통예술 서화전승 청년작가(한국화 부문)
2023 인카네이션 문화예술재단 청년작가 창작지원금 선정
2024 쿠바. 한국 수교 미술상 수상
2025 올해의 평론가상(전통예술 부문 : 한국노벨재단)
동의대·안양대 강사 역임
【논문】
2021 「묵란화墨蘭畵에서 ‘난초 치다’의 역사적 근원 시탐試探」, 『동양예술』 제50호(KCI 등재학술지, '난초 치다' 의 어원 최초 논증)
2020 「굴원屈原의 「이소離騷」가 묵란화 형성에 끼친 영향 고찰」, 『동양예술』 제46호(KCI)
2019 「유가적 관점에서 조선시대 문인사대부의 묵란화 연구」, 『미학예술학연구』 제56집(KCI)
2018 「묵죽화담론墨竹畵談論」, 『미학예술학연구』 제53집(KCI)
2017 「마음 비움의 구현을 위한 수묵水墨 표현 연구 - 은일隱逸·무화無化·무애無碍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추사 김정희의 난초그림 필법筆法 분석 - 서화용필동법에 의한 삼전법三轉法을 중심으로」, 『秋史硏究』 제8호, 추사연구회
2008 「서화용필시書畫用筆時 수완(手腕, 손과 팔)의 기하학적 구조 분석」, 『동방논집』 제2호, 동방대학원대학교
2007 「추사 김정희의 서화 작품에 나타난 바른 집필법執筆法 고찰」, 『秋史硏究』 제5호, 추사연구회
2003 「수묵화의 용필법用筆法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동양화과 석사학위 논문